본문 바로가기

키&성장/키&성장 원리

큰 키는 작은 키보다 유리하다? 광주성장한의원

키는 청소년기에 무엇인가?

오늘은 성장클리닉 명실상부한 한의원인 김성훈한의원의 키박사 김성훈의 키의 진화적인 관점과 성선택의 본질적인 면에서 키성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겠습니다.

청소년기는 신체가 변화하는 시기입니다. 자신들에게 있는 개별적인 능력을 반드시 발견해 내야 하고 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는 현실의 사회에서는 자신의 신체는 끊임없는 조사대상이며, 그 중에서도 키는 젊은이에게는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습니다.생물학적으로 주어진 존재하는 시간 동안 내내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크거나 작은 이 키는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포식자와 피식자가 있는 동물세계에서는 성적으로 상대에게 선택 받는 다는 것은 자신을 들어내는 행위로서 피식자에게는 상당한 모험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종의 진화과정에서 자신을 들추어내는 적절한 표현만이 생도 이어갈 수 있고 자손을 남길 수 있어 왔습니다. 큰뿔사슴의 과도한 뿔의 크기를 이용한 성선택의 행동은 종의 멸종도 초래했습니다.하지만 현재의 인간 사회에서는 포식의 위험은 없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성 선택적 노력들이 극대화될 수 있어 자신의 자원을 그쪽으로 쏟는 경쟁적 사회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그러므로 성년 때 정해진 키는 이성과의 관계, 미래 직장동료와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에 긍정적혹은 부정적 변수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어린시절 우리들은 거인과 난쟁이가 등장하는 우화와 전설을 들으며 자랐습니다. 키가 작은 엄지공주와 호빛족은 모두 다 성공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는 상상의 영웅으로서, 자신들의 작은 키와 연관된 지적 도덕적 자질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키에 대한 이런 대중적인 이야기들은 어린 시절의 경이로운 이야기에만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은 다 피부로 직접 느끼는 일들입니다. 현실적으로 키담론을 구성하는 요인은 키가 작은 사람에게 있어서 더욱 난해하고 착잡합니다. 그 발견은 성선택의 시기가 도래하는 청소년기에 이루어집니다. 키가 작은 젊은이들에게 그런 발견을 실망의 근원이 됩니다.만약 작은 키를 가지고 있는 자녀가 있다면 그들이 키라는 변수로 인해서 가질 수 있는 좌절감과 열등감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기제를 만들어 줘야합니다.

 

빛고을 광주에서

 

키박사

 

여송 김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