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성장/키&성장 원리

키 성장의 원리/성장판과 성장호르몬_광주성장한의원

키 성장의 원리/성장판과 성장호르몬_광주성장한의원

 

[키 성장의 원리/성장판과 성장호르몬]

광주성장한의원 김성훈한의원

 

안녕하세요. 광주성장한의원 김성훈한의원 키크기전수 키박사 김성훈박사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키 성장의 원리/성장판과 성장호르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세포 분열을 일으켜 키를 크게 하는 골단부에 있는 성장판은 사춘기가 지나면서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점차적으로 골막을 융합해 성장을 멈추게 합니다. 그러므로 사춘기가 지나면 급속히 성장 속도가 둔화되어 서서히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아래그림을 보시면 왼쪽이 성장판이 열려있는 소아청소년의 뼈사진이고 오른쪽이 성장판이 닫혀있는 성인의 뼈사진입니다.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는 성장판에 성장호르몬영양소 그리고 운동자극이 되어 뼈가 길이 성장이 되는 것입니다.

 

 

뼈가 자라는 부위-성장판
키 성장은 뼈가 길이 성장과 부피 성장을 계속하면서 전체적인 몸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뼈 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골간과 골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골간은 뼈 중간의 딱딱한 치밀질로 되어있고, 골단은 관절과 직접 연결이 되어있는 부분입니다.

뼈의 길이 성장
골단과 골간 사이에는 성장판이라고 하는 골단 연골(부드러운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성장호르몬(더 정확하게 말하면 성장호르몬의 대사산물인 인슐린양 성장 인자)과 성장에 관여하는 다른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뼈를 구성하는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 뼈의 길이가 자라도록 합니다.

뼈의 길이는 골단 연골이 증식하고 이것이 골질로 치환되어 늘어납니다. 그러나 길이 성장이 일어나는 성장판은 사춘기가 시작되어 성호르몬의 분비가 늘어나면 점차 골간처럼 딱딱한 뼈로 변화됩니다. 그러나 더 이상 뼈는 길이 성장을 하지 않게 됩니다. 이것을 흔히 성장판이 닫혔다고 표현합니다.

 

 

뼈의 부피 성장
관절면을 제외한 뼈의 표면을 덮고 있는 골막은 뼈를 보호하고 혈액을 공급하여 뼈의 부피가 늘어나게 합니다. 이러한 부피 성장은 성장판이 닫힌 후에도 가능합니다.

성장판 검사
길이 성장을 하는 장골(긴 뼈)의 골단은 폐쇄되는(성장판이 닫히는) 표준 연령이 있으므로, X-ray검사로 어떤 장골까지 성장판이 닫혔는지를 알아보면 각 개인의 골연령이 파악되어 앞으로도 어느 정도 많이 성장의 가능성이 있는지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의 모든 것
성장호르몬이란 성장과 발육을 촉진하는 호르몬으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됩니다. 일반적으로 성장호르몬은 잠든지 1~2시간 후 숙면을 하고 있을 때나 운동을 시작하여 약 30분 정도가 지난 뒤에 가장 많은 양이 분비됩니다. 따라서 숙면적당한 운동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키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성장호르몬이 하는 일
뼈와 연골 등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단백질을 합성하여 저장된 지방을 분해합니다.
(그래서 운동을 하지 않고 라면 과자를 많이 먹어 근육은 부족하고 지방살이 많은 경우는 뼈로 가야할 성장호르몬이 지방으로 가서 성장호르몬이 헛일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
골격 및 내장의 성장 속도를 조절합니다.

 

 

 

성장호르몬 결핍 원인
- 난산으로 아이의 뇌하수체나 시상하부에 손상이 있는 경우
- 후천적인 뇌종양이 있는 경우
- 뇌염 및 뇌막염이 있는 경우
- 방사선으로 뇌 손상이 있는 경우
_ 운동이 부족한 경우
-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
- 비염이 있는 경우
- 깊은 잠을 자지 못하는 경우
_ 야한 생각을 많이 하는 경우